• 목록
  • 아래로
  • 위로
  • 쓰기
  • 검색

법률/투자 베트남, FDI 급증으로 산업용 부동산 '황금기' 맞아

비나타임즈™
0 0

베트남, FDI 급증으로 산업용 부동산 '황금기' 맞아


베트남이 사상 최고 수준의 외국인 직접투자(FDI) 유치에 성공하면서 산업용 부동산 시장이 '황금의 기회'를 맞이하고 있다. 하지만 베트남 부동산 전문가들은 교통, 전력, 인적 자원 등 인프라의 미비와 제도적 문제로 인해 이러한 기회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하며, 정부 차원의 개선 노력을 촉구했다.




71fb755ac223435492a51b6f09300274-3749.png

FDI 유치 현황 및 전망

  • 역대 최고 FDI: 2025년 상반기 베트남의 등록 FDI는 215억 달러를 돌파하며 전년 동기 대비 32.6% 증가했다. 이는 2009년 이후 최고치다.

  • 주요 투자 분야: 제조업 및 가공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, 베트남이 국제 투자자들의 '글로벌 공장'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.

  • 활발한 부동산 시장: FDI 급증은 고품질 산업용 토지 수요를 증가시키고, 인수합병(M&A) 활동을 활발하게 만들고 있다.


산업용 부동산 시장의 도전 과제

  • ESG 기준: 환경·사회·지배구조(ESG) 기준이 투자 유치의 필수 요소가 되고 있지만, 베트남 내 산업단지에서의 ESG 기준 적용은 여전히 더딘 상황이다.

  • 인프라 미비:

    • 교통: 일부 산업단지가 항만 및 고속도로와 멀리 떨어져 있어 물류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.

    • 전력: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시설에 필요한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.

    • 폐수 처리: 열악한 폐수 처리 시스템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.

  • 제도적 문제: 산업용 부동산 관련 법률이 중복되거나 복잡하며, 프로젝트 승인 절차가 길어 FDI 유치를 저해하고 있다.

  • 치열한 경쟁: 베트남은 인도네시아, 인도, 태국, 말레이시아 등 주변국들과 치열한 FDI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어, 정책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.


전문가들의 제안 및 향후 계획

  • 정책 개선: 베트남 부동산협회는 정부에 토지 임대료 인하 및 장기 임대 메커니즘 도입을 제안했다.

  • ESG 준수: 기업들은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인프라, 수처리, 재생에너지 등에서 '친환경' 기준을 충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.

  • 협회 역할: 베트남 산업부동산협회는 정책 제안, 디지털 인프라 업그레이드, ESG 포럼 개최 등을 통해 산업용 부동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다.


출처 : https://vneconomy.vn/dong-von-fdi-dang-tao-co-hoi-vang-cho-bat-dong-san-cong-nghiep.htm


공유스크랩

댓글 0

댓글 쓰기
권한이 없습니다. 로그인

신고

"님의 댓글"

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?

댓글 삭제

"님의 댓글"

삭제하시겠습니까?

공유

퍼머링크